이경수 / codenox@hanmail.com
요즘은 컴퓨터를 조금이라고 사용하는 사람은 비디오 대여점을 찾는 일이 거의 없을 것이다. 90년대 말부터 급속도로 보급된 바로 DivX 때문이다. 초기에 한 엔지니어가 높은 압축률을 가진 MPEG4 코덱과 MP3코덱을 활용할 수 있는 방안으로 두 코덱을 합친 작품이 바로 DivX이다. 기존의 AVI, MPG, DAT과 비교가 되지 않은 정도의 화질 및 음성을 가지며 2시간짜리 영화를 시디한 장을 담을 수 있는 압축률로 이제 동영상 코덱의 기준이 되었다. 또한 인터넷과 P2P방식의 공유프로그램의 발달로 극장에서 상영하는 영화를 집에서 시사회?를 가질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아직까지 DivX는 DVD와 다르게 코덱칩이 개발되지 않아 PC를 사용하여 재생이 가능하다. 따라서 모니터로만 영화를 감상해야 한다. (컴퓨터를 잘 못하는 형은 꼭 디빅영화를 볼 때 나한테 투덜거리며 말한다. "좀 편하게 못보냐!..." ㅜ,ㅜ;;;)
그러기에 누구나 한번씩 "디빅영화를 거실에 있는 대형 TV로 볼 수 없을까?" 고민을 했을 것이다. 거기에 대안으로 컴퓨터를 PC옆으로 옮겨 s-video단자를 이용하여 보는 사람도 있으나 노트북이 아닌 이상 쉬운 일이 아니다. 아니면 RCA 케이블을 길 게 연결하여 거실까지 연결 하여 보지만 이것 역시 화질 저하현상과 케이블 설치가 힘이 든다. 특히 나 같이 컴퓨터가 4층에 있고 TV가 있는 거실이 3층에 있는 집은 10~20미터나 되는 케이블을 깔아야 한다. 왜! 요즘 같이 인터넷도 무선으로 되는 세상에서 이런 것 하나 해결이 되지 않는 것일까? 하는 생각을 저 역시 많이 했었다.
이번에 테스트를 맡은 Wireless AV-Link가 이런 고민에 확실한 대안이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이제부터 (주)Wisespot "Wireless AV-Link"는 어떠한 제품인지 자세히 알아보자.
Wireless AV-Link는 뭐하는 물건일까 ? |
- Wisespot 홈페이지에 쉽게 소개되어 있어 옮겨 소개해본다.
AV-LINK 제품 소개 |
|
개요 무선 AV-link는 가정용 AV시스템을 무선으로 연결할 수 있는 기기입니다. 최고의 품질의 영상과 음성을 전달하기 위해 무선 AV-Link는 2.4GHz 주파수 대역 (이 주파수 대역은 산업, 과학, 의료장비의 국제적 사용범위임)을 사용합니다. 방과 거실에서는 물론 벽이나 천장, 기타 고형물체를 통과할 수 있습니다. 이제 여러분은 번거로운 케이블 작업 없이 무선의 편리함을 누릴 수 있습니다.
특징 무선 AV-Link는 간편한 설치로 PC,DVD,VTR 캠코더를 연결하여 다양한 VIDEO/AUDIO를 TV, 프로젝터의 대형 화면으로 감상할 수 있습니다. 이젠 DivX, DVD, VCD등의 영화, 애니메이션, 인터넷, 교육용 소프트 웨어를 거실에서 가족들과 즐기십시오.
-2.4GHz의 주파수 사용 -작동거리 70m 이내 -세련되고 간결한 디자인 -친사용자 위주의 간단한 설치 -고감도 수신/저전력 송신
|
|
이런분들에게 권합니다. |
|
PC화면으로 DVD를 보고 계신 분
극장 대신 DivX 로 영화 감상하시는 분
애니메이션 VCD를 TV로 보고 싶은 분
PC 화면을 그대로 VTR 에 녹화하고 싶은 분
DVD와 프로젝터를 연결하여 홈씨어터 만들 때
전시장등 동일한 화면을 여러 모니터에서 제공해야 할 때
거실에 있는 DVD를 내방의 TV에서 보고 싶을 때
|
|
|
|
- 위에서 소개된 것 처럼 DivX와 같은 동영상을 케이블에 관섭을 받지 않고 쉽게 거실등에 있는 대형 TV로 불 수 있도록 고안된 무선 AV출력 장비이다. 한마디로 가정용 송수신 안테나 역할을 하는 장비이다. TV에 안테나를 설치하여 방송을 시청하는 것과 같은 방식이다. 다만 단거리에 벽과 천장들에 관섬을 피하기 위해 고대역의 주파수대역을 사용하는 것이다. 그럼 이제 어떤 형태의 제품인지 알아보자.
먼저 Wireless AV-Link의 스펙에 대해서 알아보자.
제품명 |
wirelessAV-Link |
기능 |
무선 영상, 음성 전송 |
방식 |
FM방식 (2410, 2430, 2450MHz) |
기타 |
송, 수신기로 구성 입출력 : Composite, Stere RCA 전원어댑터 (12v, 300mA) |
제조사 |
(주)Wisespot |
판매처 |
CompuZone |
가격 |
13 만원대 |
제품 세부사양
|
송신기 AVL-T1 송신주파수 채널 : 2410,2430,2450 MHz 송신전력 : 10mW 송신안테나 :지향성 안테나 A/V 방식 : FM A/V 입력 단자: 3.5 mm 폰잭 비디오 입력형태 : 1 Vp_p(최대), 7.5 Ohm 오디오 입력형태 : 1 Vp_p(최대), 10k Ohm 전원 : 12V DC, 300mA(최대)
|
수신기 AVL-R1 수신주파수 채널 : 2410,2430,2450 MHz 수신감도 : -80 dbm 수신안테나 :지향성 안테나 A/V 출력 단자: 3.5 mm 폰잭 비디오 출력형태 : 1 Vp_p(최대), 7.5 Ohm 오디오 출력형태 : 1 Vp_p(최대), 10k Ohm 전원 : 12V DC, 300mA(최대)
|
위의 스펙처럼 wireless AV-Link는 깨끗한 수신감도를 위해 기존의 FM라디오(100MHz대 주파수 대역)와 비교하여 20배나 높은 주파수 대역인 2.4GHz대를 사용한다. 그렇기에 벽이나 천장은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
1. 제품의 외형 및 구성물 - 이미지을 마우스로 클릭하면 큰이미지로 볼 수 있습니다.
[ B O X ]
- 박스는 두꺼운 코팅제질을 사용하여 깔끔하게 처리되어 있으며 박스 디자인 역시 무난하다. 운송시에도 충격에 영향이 적도록 견고하게 제작 되어 있으며, 국산제품 답게 한글로 자세히 표기되어 있다. 한가지 초기에 나온 제품과는 박스의 디자인에서 변경되었다. 개인적으로는 현제 디자인이 좋다. |

|
 [ 내부 구성물 ]
- 내부는 에어팩으로 부속하나 하나 포장되어 있어 운송시에도 안전하며 제조사의 마감처리에 대한 믿음이 느껴진다.
 [ 제품 전면 ]
 [ 제품 후면 ]
- 제품을 보면 진한 아이보리 색상에 회색 스텐드로 요즘 많이 볼 수 있는 무선 네트웍 기기와 비슷한 다지인으로 무선 장비임을 강조하고 있다. 뒷부분은 단자부를 내부에 두어 벽에 장착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스텐드 역시 홈과 걸쇠부를 만들어 벽에 장착시 선에 대한 문제를 해결했다.
 [ 커넥터 부 ]
- 생각 했던거와 다르게 커넥터 부는 전원단자와 AV통합 단자로 간결하게 처리되어 있다.
- 커넥터 부의 연결은 왼쪽그림의 4단 접지형의 미니잭으로 연결하여 TV난 다른 AV장치에 연결이 가능하도록 RCA타입으로 변환해준다. 하지만 TV-출력에서 많이 사용하는 S-Video 타입은 지원하지 않아 고해상도의 화질에 표현에 한계가 있다.
- 기본적으로 그래픽카드에 RCA단자가 있는 경우는 드물다. 그렇기 때문에 S-Video to RCA 잭을 제공하지만 화질에서는 차이가 없다. 또한 오디오 역시 사운드카드에 맞게 스테레오 변환 잭을 같이 제공한다.

[ 전 원 부 ]
- 제품의 작동은 전원과 채널설정 단자로 간단하게 되어 있어 누구나 쉽게 사용이 가능하지만 제품의 마감처리는 앞부분과 다르게 매끄럽지 못한 모습을 보여 준다. 참고로 채널설정 단자는 주파수 변경을 위한 단자인데 주파수 대역간의 간섭을 차단하기 위해서 인데 가정용중 2.4GHz의 주파수를 사용하는 제품은 없을 것이다. 다만 2대 이상의 wireless AV-Link을 사용할 경우는 필요하게 될 것이다. (1ch-2410, 2ch-2430, 3ch-2450MHz 3개 채널로 변환 가능)
- 왼쪽 그림은 제품 상부쪽에 있는 IR 단자이다. 아직 까지는 사용되지 않는 단자이지만 다음에 차기버전이 나와 리모콘이나 다름 부가 장비가 생길 경우 사용이 될 것 같다. 오른쪽은 스텐드 바닥에 있는 벽걸이 고정쇠로 나같이 수신기를 바닥으로 해야 할 경우 요긴하게 쓰인다. wireless AV-Link는 지향성 안테나를 사용하기 때문에 꼭 마주보아야 깨끗한 영상을 보장해준다. |

|
[ 송신기 & 수신기 ]
- 무선 장비이므로 송신기와 수신기 한쌍으로 꼭 필요하다. wireless AV-Link는 송,수신기 1대씩 구성되어 있고 제품은 외형에서는 차이가 없다. 그래서 신호를 보내는 Transmitter, 신호를 수신하는 출력해주는 Receiver로 구분하여 제품 왼쪽 하단에 표기되어 있고, 뒷면에 라벨의 색상(송신-금색, 수신-은색)로 또한 구분이 가능하다.
[ 케이블 & 아답터 ]
- 송,수신기가 존제하므로 2개씩의 케이블과 아답터를 제공하고 있으며 송,수신기간 제품은 동일하다. 케이블은 1.5m정도의 길이로 벽에 걸어도 큰 지장이 없다.
- 아주 자세하게 제품에 대한 설명과 설치 방법을 기제하여 누구나 설치을 쉽게 할 수 있다. 제품 설치는 간단하나 TV나 PC에 장비 연결방법을 모르시는 분들이 의외로 많기 때문에 설명서도 꼭 필요한 구성물이 아닐까 한다.
이제 제품을 대한 설명은 이만 접고 제품의 화질에 대해서 알아보자.
- 화질에 대한 성능 비교는 wireless AV-Link 연결시, S-video 다이렉트 연결시 2가지를 기본으로 비교하였다. 따라서 출력방식에 따른 화질은 비교해보자. 출력은 색감이 밝은 라데온 8500을 사용하여 테스트 해보았으며, 이미지는 접사모드로 촬영하였다. 테스트의 TV 출력에 중점을 두어 비교하였다. 대상은 거실의 완전평면 29인치 TV....
테스트 시스템 사양 |
CPU |
Intel Pentium4 1.6A |
M/B |
Suma 4BEA |
VGA |
ATI Radeon 8500 Retail |
Monitor |
Alpha Scan 870 [완평 19"] |
T V |
LG CN-29Q4X [완평 29"] |
VGA Driver |
ATi Catalyst 2.3 |
OS |
Windows XP Professional |

[ wireless AV-Link 출력 ] #뚜렷한 촬영을 위해 불끄고 촬열 ㅡ,ㅡ

[ S-video 출력 ]
- 영화를 재생하기전 먼저 1024*768로 TV출력으로 바탕하면을 출력하였다. 역시 PC화면을 출력하기에는 TV가 한계가 있다. 아래의 이미지는 S-video로 출력했을 때 확대한 이미지로 그나마 뚜렷한 이미지를 보여 주었다. 그럼 실질적은 동영상 화질에 대해 비교해보자.
잠깐! - 처음 설치시 이상하게 화질저하가 심하게 나타났다. 거의 일반 TV를 안테나로 시청이 나오는 잔상까지 보이며 노이즈까지 있었다. 여러차례 방향을 옮겨 보며 해보았지만 제품 불량인가하는 생각만 있을뿐 같은 현상이었다. 그러다 무심코 그래픽 카드의 S-Video to RCA 잭을 라데온의 기본잭으로 변환해보았는데 아주 깨끗한 원래의 모습을 보였다.

|

|
- 변환 젠더 3종 |
- AV-Link 제공 젠더 |

|

|
- GeForce 4 MX 제공 젠더 |
- Radeon 8500 제공 젠더 |
위와 같이 그래픽 카드에 제공되는 변환 젠더마다 핀수나 배열이 조금씩 차이가 있다. 테스트 PC가 아닌 지포스 계열의 그래픽 카드로 출력을 해도 AV-Link의 제공 젠더를 사용하면 화질저하가 있었다. AV-Link 변환젠더는 TV의 S-video 단자와 호환되는 젠더으로 그래픽 카드 변화젠더와는 차이가 있으므로 출력시 그래픽 카드에서 제공되는 젠더를 사용하기 바란다.
1. DVD 재생모드 이미지를 마우스로 클릭하여 원래사이즈의 이미지를 비교해보세요.

[ AV-Link 출력 ]

[ S-video 출력 ]
- 먼저 DVD의 출력을 비교해보면 거의 차이를 느낄 수 없을 것이다. 지금 이미지는 확대이미지 이므로 S-video 출력가 선명하게 느껴지지만 전체이미지에서는 차이를 잘 느낄 수 없다.
2. DivX 재생모드 #1

[ AV-Link 출력 ]

[ S-video 출력 ]
- 색감이 강한 애니메이션 디빅이다. 원색이 강해 AV-Link 출력에 색의 경계선이 뚜렷하지 않아 깨끗하게 보이지만 선명도에서는 S-video 출력이 앞선다 하지만 그냥 움직이는 동영사을 볼 경우 차이를 느끼기는 쉽지 않다.
3. DivX 재생모드 #2

[ AV-Link 출력 ]

[ S-video 출력 ]
- 이번 DivX 영화로 두제품 모두 깨끗한 이미지를 출력하여 무리없이 볼 수 있었다. 이번 역시 S-video 출력이 동영상에서 선명도가 높았으며, AV-Link 출력은 부드러운 화면을 제공하고 있다.
4. TV 입력단자 S-Video 변환시....

[ RCA 단자 입력 ]

[ S-Video 변환시 ]
- 위 이미지에서도 알 수 있듯이 S-video 변환시 입력단자에서 100%입력을 받지 못하기 때문에 화질에서 열화 현상이 발생했다. 또한 전체이미지로 보변 마름모 문양의 결이 생겨 화질 저하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그냥 RCA 출력이 좋을 것 같다.
위의 테스트에서 결과를 정리해보면 실제로 큰차이를 느낄 수 없었다. 다만 정지화면을 보고 얘기해보면 RCA출력을 하는 wireless AV-Link는 RCA특성상 부드러운 이미지를 보여주는 대신 색과 색의 경계선이 명확하지 않았다. 반면 S-video 출력은 선명한 이미지를 보여주었지만 차가운 느낌이 든다.
두가지 출력 보기 좋은 동영상 이미지를 출력해주었다. 640x480의 동영상 이미지는 출력에 한계가 있어 각 출력에서 큰차이를 보이고 있지 않았다. 그리고 두제품 역시 자막의 표현력에서는 깔끔하지 못해 폰트를 모니터 출력시도다 크게 잡아야 했다.
지금까지의 테스트를 정리 하여 장단점을 간단히 비교해 보았다.
장 점 |
단 점 |
1. 무선 제품으로 선에 제약이 없다. 2. 높은 주파수를 사용하여 벽에 제약이 적다. 3. 케이블 연결시와 비슷한 정도의 우수한 화질을 보장한다. 4. 설치가 간편하며 자세한 한글 매뉴얼 제공. |
1. S-video을 지원하지 않는다. 2. 지향성 안테나로 송,수신기를 마주 보아야 한다. 3. 음성에서 2체널만을 지원한다. |
- 테스크 기간 동안 wireless AV-Link 보며 무선시대가 가까워 온 것을 느낄 수 있었다. 무선이라는 장점을 동영상 출력에 이용한 1 세대 제품으로 기발한 아이디어가 돋보인다. 하지만 아직 1세대 제품이므로 S-video, 다채널 사운드등이 지원되지 않으며, 기본 출력만 신경을 쓴 제품이다. 다행히 기본 출력에 많은 신경을 쓴 제품 답게 우수한 화질을 제공하여 TV로 디빅을 즐기는데 아무런 지장이 없다. 1세대 제품으로 아무런 손색이 없다고 느껴진다. 다만 다음에 wireless AV-Link 2 등 2세대 제품들이 출시될지는 모르겠지만 그때 정도 이면 S-video, 다채널 사운드등이 지원될것이다.
테스트 기간 동안 상당히 많은 영화를 볼 수 있었다. 기존의 작은 모니터에서 벗어나 편안 소파에 앉아 대형 TV로 영화를 즐길 수 있는 여유.... 이것이 Wireless AV-Link의 가장 큰 장점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하며 사용기를 마무리 한다.
마지막으로 기회를 제공해주신 ATiMANIA와 Wisepost, Compuzone 관계자 분들에게 감사드리며, 끝까지 읽어 주신 분들에게 감사 드립니다.
|